- 가변지향성 마이크(Variable Directional Microphone)

지향성을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마이크.전지향성. 

마이크의 뒷부분에 조그마한 구멍을 두거나 양지향성마이크 진동판의 뒷부분을 어느 정도 감싸주어 

전지향성과양지향성의 중간적 특성을 실현하는 것이 보통이다.



- 가상 사설 통신망 

보통의 전화망을 사용하면서 그 고도의 망 관리 기능을 활용하여 유연한 기업 내 전용망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

최근 미국 등 선진국의 장거리 통신 사업자들이 공중 통신망에서의 고도의 망 관리 기능을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기업 내에 분산되어 있는 사업소간의 구내선 다이얼, 구내 선별 요금 명세, 각종 통계 보고 작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화 요금도 일반 장거리 통화보다 저렴하고, 고객 기업은 자사 내의 제어 단말을 전화 회사의 망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하여 수시로 각종 변경 추가를 할 수 있다. 미국 AT&T의 SDNS(software defined network service)가 대표적인 것이다. 

 

 

- 가상 사설망 서비스 (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
공중 전화망상에 사설망을 구축해 줌으로써 이용자가 마치 자기의 사설 구내 망 또는 전용 망과 같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공중 통신 사업자가 희망하는 기업이나 이용자 그룹으로 하여금 자신의 망 구성을 

정의하고 임의의 전화 번호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가상 사설망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용자 입장에서는 

사실상의 사설망을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나,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공중망 내에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종류의 서비스는 1985년 미국 AT&T에서 최초로 SDN(software defined network) 서비스와 

가상 전용선 서비스라는 명칭으로 도입하였는데, 그후에 미국의 다른 장거리 사업자들이 잇따라 유사한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도입 배경은 통신망의 지능화로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이용자와 통신 사업자 쌍방에게 유익하기 때문이다. 

통화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이용자에게 유리하고, 공중망의 회선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통신 사업자에게도 

유익하다. 최근에는 미국의 지역 전화 회사와 세계 각국의 공중 통신사업자가 여러 가지 고유의 명칭으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MCI의 'V net', US Sprint의 'VPN', 일본 NTT의 'Members Net', 한국 통신의 '가상 사설망',

데이콤의 '국제 가상 사설망' 등이 모두 같은 종류의 서비스이다. 


- 간이중계소(TVR) 
Television Repeater의 약어. 저출력 무인 텔레비전 중계소를일컫는 말로 간이 텔레비전 중계기, 

무인 텔레비전 중계기, 간이TVR 등으로도 불린다. 


- 감마 Gamma 
비디오 입력 신호에 따른 모니터상에서의 빛의 출력 또는 루미넌스 사이의 관계. 

모든 이미지 재생 장치의 목표는 원래 화상의 모든 조건을 그대로 표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톤을 재생하는데 있어서 비직선성(있는 그대로 재현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자연적인 감마 또는 원래의 감마라고 한다. 모니터상에서 충실히 재생하기 위해 이를 보상하는데 

이는 보정감마(Correction Gamma)라고 한다. 


- 건 마이크 (Gun Microphone) 
초지향성 마이크. 즉 먼 거리에 있는 소리를 포착할 수 있도록고안된 긴 지향성 마이크로 모양이

총(gun)과 같다고 해서 건마이크라 한다. 


- 게이트웨이 (Gateway)
①`컴퓨터의 한 시스템에서 호환성이 없는 다른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돕는 컴퓨터 프로그램. 

비디오텍스(videotex)의전송에도 쓰인다. 데이타 통신에서는 송·수신자 사이에 통신프로토콜이 동일해야 교신이

가능하다. 프로토콜을 다른 통신망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하며 이 프로토콜 변환기기를 

게이트웨이라 한다. LAN에는 다른 종류의 LAN과 접속하는게이트웨이와 X.25 패킷스위칭 네트워크용 게이트웨이 등

여러종류의 게이트웨이가 있다.
②`텔레비전을 통해 상품 소비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비디오텍스 시스템.


- 경성방송국
KBS의 전신. 1926년 11월 30일 조선총독부로부터 방송 무선전화시설의 인가를 받아 1927년 2월 16일 호출부호 JODK,

출력 1kW,주파수 690kHz로 본방송을 개시했다. 초창기의 방송은 단일 채널을 통한 한일 양국어의 혼합 방송으로

그나마 방송시간 비율도 1 대3으로 일본어 중심이었다. 그러나 이해 7월 신문의 비난을 받자 2대 3의 비율로 바뀌어 

교대방송을 했다. 교대방송도 처음에는 동시간대에 매 프로그램별로 교대 방송하다가 다음에는 상호간의 프로그램을 

함께 묶어 시보(時報)를 중심으로 교대방송했으며, 다시 서로의 프로그램을 아주 분리하여 격일로 교대 방송하다가 

또다시 일어 방송이 전부 끝나는 한밤중 끝머리 시간에 경제 시황 정보와 한·일어 방송의 물가시세, 일기 예보 공지사항이

있었으나 순수한 한국어 방송으로는 창, 민요, 동화, 고담(古談)이 이따금방송되었으며 

그밖에 한일 공동프로그램으로 양악 방송이 있었다. 


- 고선명TV HDTV (High-Definition Television)
기존의 TV보다 더욱 선명한 영상(높은 해상도)을 제공하는 TV. 

대략 현재의 NTSC보다 광폭화면과 두배 가량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현재의 TV 대역폭에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전송하려면 디지털화, 압축 과정, 

부호화 과정을 거쳐 도달하고 가정에서는 다시 압축을 풀고 데이터를 분리하여 모니터상에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 고속 디지털 전송 서비스(High Speed Digital Transmission Services) 
고속 대용량의 디지털 전송시스템. 속도의 종류로는 매초64킬로비트, 192킬로비트, 384킬로비트, 768킬로비트, 

1.5메가비트,3메가비트, 6메가비트의 일곱 종류가 있다. 통칭 슈퍼 디지털(superdigital)이라고도 한다. 

고속대용량, 고품질, 저요금을 장점으로컴퓨터간 통신, 초고속 팩시밀리 통신, 텔레비전 회의, 근거리통신망(LAN) 

상호간 접속, 또는 복합적 이용이 대기업을 중심으로이뤄지고 있다.


- 고조파 (Harmonics) 
전기 음향에서 사용되는 용어. 음의 경우 배음에 해당하는것으로서, 고조파는 전기 진동·전자파의 경우에 사용되며,

기본진동수에 대해 그 배수(倍數)에 따라 제2, 제3조파(調波)라고 한다.



- 고퍼(Gopher)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캠퍼스 내의 정보 서비스용으로 개발되어 1991년에 최초로 도입된 분산형 정보검색 시스템으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자원의 광범위한 메뉴를 성공적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단 2년 만에 Gopher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지만, 지금은 Hypertext 기반의 World Wide Web에 

자리를 뺏기고 있는 실정이다. 고퍼는 WWW, WAIS, Archie, Telnet, FTP 등 다른 인터넷 서비스의 

중계기능(gateway)도 있다. 인터넷 상에는 아직도 수천 개의 Gopher 서버가 있지만, 현재는 그저 존재하고 있는 정도이다. 


- 공칭 커버리지 에어리어 (公稱-) Nominal Coverage Area)
우주국 및 지상 송신국이 특정 주파수로 일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우주국(또는 지상 송신국)과 

관련된 지역으로서 그 지역 내에서 어떤 주어진 조건하에서 수신 또는 송신이 가능한 지역을 넓은 의미로 

커버리지 에어리어라 한다. 앞에서 말한 주어진 조건이란, 송신국과 수신국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특성,

설치 상태, 보호비와 같은 희망 전송 품질 및 기타 운용 조건 등을 말하는데 이들 조건은 사전에 제시되어야 한다.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① 무간섭 커버리지 에어리어 : 자연 또는 인공 잡음에 의해서만 제한 받는 에어리어. 

② 공칭 커버리지 에어리어 : 주파수 이용 계획 수립시 예상되는 송신기의 출력 등을 고려하여 확정하는 에어리어.

③ 실제 커버리지 에어리어 : 실제로 존재하는 잡음 및 간섭을 감안한 에어리어.

 



- 광대역 (Broadband)
①`음성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주파수보다 더 큰 주파수를 운반할수 있는 전송시설. 3-4 kHz 이상의 대역폭. 
②`넓은 주파수 대역.오디오 기기의 이득이 주파수 뿐만 아니라 거의 일정한 범위가 넓은 경우의 형용사인데

그 범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다.즉 광대역이란 비교 형용사라고 할 수 있는데 상식적으로는 전기음향 변화기,

가령 스피커라면 50Hz에서 20kHz를 초과하면광대역이고 오늘날의 앰프라면 5Hz에서 100kHz 정도라도

별로 광대역이라고는 할 수 없다. 
③`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의 다채널수용능력



- 광대역 전송 (Broadband Distribution) 
복수 TV, 음성, 데이타 채널의 단일 시스템 전송.

광대역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광대역 커뮤니케이션(Broadband Communication)이라고 부른다. 


- 광대역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 BCN) 

음성대역보다 넓은 대역을 갖는 전송로를 단위로 한 통신망으로 고속 데이타통신, TV전화, 고속팩시밀리 등의

전송에 사용된다. 


- 광섬유 (Optical Fiber, Fiber Optics)

광통신에 이용되는 전송로. 전선이 전류로 신호를 전하는 것과 같이 광섬유는 빛을 신호로 하여 

정보를 먼 곳으로 전송한다. 광섬유는 신호의 감쇠가 적기 때문에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보낼 수 있는 정보량이 많고 전기적 잡음을 받지 않는 등 많은 특징이 있다.



- 광 케이블
석영계 유리 등을 재료로 만든 모발 굵기(직경 0.1mm 안팎)의 섬세한 섬유를 말함. 광파이버 케이블이라고도 한다.



- 국가지리정보시스템 NGIS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는 1995년부터 정부가 실시하는 국가GIS 사업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간접자본 중 위치 및 공간 정보자원을 구축하기 위한 범국가적인 사업이다.

국가지리정보 시스템(NGIS) 구축 사업은 정부 정보화 추진의 일환으로 정보사회의 기반정보를 구축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국가지리정보 시스템 사업의 골간은 全 국토의 수치지도화 및 기반정보 공유환경을 

조성하는 기술개발과 표준화이며 그 중 수치지도의 구축이 가장 핵심으로 이의 적절성 여부가

NGIS의 국가역할을 평가하는 척도이기도 하다. 국가지리정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법제도의 정비 추진기구와 인력구조의 재편 및 강화, 다른 정보화 정책과의 연계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정책성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엄청난 인적, 시간적, 

물적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국가지리정보 시스템의 최대 문제점은 정책적 공감대와 책임의식 부재,

핵심 추진기구의 법 제도적 위상 부재 등이 있다.


- 그레이스케일 Grayscale 
완전히 꺼진 경우부터 최대 밝기로 했을 경우 사이의 컬러 필터를 통과하는 빛의 루미넌스 크기를 말함. 


- 그룹 딜레이 (Group Delay)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비선형적인 위상응답을 나타내는 현상. 

이는 비디오 대역폭 내에서 비선형적인 위상·주파수 응답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3.58MHz

근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에서 위상의 비선형적인 이동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높은 주파수에서 위상응답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위상·주파수 응답특성도 같이 떨어지게 된다. 


- 기준 감도 (基準感度) Reference Sensitivity 

수신 감도란, 규정 출력을 얻기 위한 수신기 입력 전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작은 상태에서 규정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면 그 수신기는 감도가 우수한 것이다. 

기준 감도란 신호 대 잡음비, 수신기 대역폭, 변조도 및 신호원의 임피던스 등을 규정한 값에 대한 

최대 사용 감도로 정의된다. 즉 수신기의 음성 출력이 기준값의 50%인 조건에서 신호 대 잡음비

(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ratio : SINAD)가 12dB로 되는 표준 변조시의 무선 주파수 신호 레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