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방송의 주요 용어

 

▶ 멀티 미디어(Multimedia) 

복합(multi) 미디어(media)라는 의미를 지지고 있는 멀티미디어는 정보의 전달방법이나 수단으 로서의 미디어와 정보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의 미디어, 그리고 정보를 매개하는 매개체로서의 매체 산업을 가리키기도 한다. 인터넷 방송에서의 멀티미디어란 두 번째 개념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미디어로 문자, 소리, 정지화상, 동영상 등의 정보가 하나의 시스템 하에서 작동되는 환경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쌍방향성과 상호작용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의 형태가 하나의 시스템에서 움직일 수 있게하는 환경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 디지털 기술(Digital Technology) 

디지털 기술은 모든 정보를 비트( b i t )라는 최소 단위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이질적인 정보의 융합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디지털이란 모든 정보를 낮은 전압의 전기충격을 이용해 0과 1이라는 간단한 요소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모든 문자와 음성, 영상정보를 표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모든 정보의 표현양식(소리, 문자, 영상)이 융합된 멀티미디어의 표현이 가능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은 바로 이러한 멀티 미디어나 방송매체 및 텔레커뮤니케이션 산업의 혁명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매체 융합(media convergence) 현상을 초래한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 하이퍼텍스트( H y p e r t e x t )와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하이퍼텍스트란 비순차적인 정보 검색이 가능하도록 관련정보들을 연결시켜 놓은 것을 말한다. 비순차적 검색이란 정보의 어느 특정 부분을 검색하기 위해 정보를 처음부터 검색해 나가는순차검색이 아니라 원하는 부분에 곧 바로 접근 해 검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테이프 경우에는 음악의 처음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듣게 되지만 카세트C D의 경우에는 원하는 음악을 바로 이동해 들을 수 있도록 만든 기술이 하이퍼텍스트인 것이다. 하이퍼미디어는 텍스트만이 아닌 여러 형태의 미디어, 즉오디오 혹은 비디오 정보를 비순차 검색이 가능하도록 연결시켜 놓은 것을 의미한다.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는 웹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기술의 하나로서 이러한 기술의 적극적인 이용은 인터넷 이용자가 빠른 시간 안에 편리하게 폭넓은 검색을 할 수 있게 한다. 

 

▶ 온디맨드(On Demand) 

주문형 서비스의 개념으로 사용되며, 주로 VOD(Video On Demand), AOD(Audio On Demand) 등으로 응용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능동성 부여를 통해 선택권, 요구성, 개인화 등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실제적인 적용사례로 이해된다. 인터넷방송 미디어가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기도 하다. 

 

▶ 푸쉬(Push) 

푸쉬서비스란 매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 목록을 미리 서버에 알려 새로운 정보가 나오면 자동으로 정보가 이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호출기나 휴대폰에 원하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밀어 보내주는 기술에서 시작되어 인터넷 웹서비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푸쉬서비스는 매체 이용자가 관심있는 정보목록을 미리 제공하지 않더라도 서버 컴퓨터에서 고객의 취향에 맞게 미리 알아서 정보를 내보내는 것도 포함한다. 푸쉬기술은 서버가 정보를 이용자에게 밀어넣는 의미로 쓰이지만, 반대로 이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정보의 목록을 미리 끌어 온다는 차원에서 풀( p u l l )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웹캐스팅(Webcasting)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인터넷인프라에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즉, 스트리밍으로 구현되는 컨텐츠와 이에 연동하는 멀티미디어를 포괄하는 서비스의 개념이다. 

 

▶ 스트리밍(Streaming) 

말 그대로 흘러나오게 한다는 의미, 즉 인터넷방송에서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가 전체 다운로드 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상황에 맞게 시청되는 현재 시간 분량만큼 조금씩 뿌려주는 것이다. 이는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차원이며, On Demand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기술차원이다. 

 

▶ 멀티캐스트(Multicast) 

인터넷상의 정보전달 기술은 세 가지 형태인 

(1)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 

(2) 브로드캐스 

(3) 멀티 캐스트( m u l t i -c a s t )방식 

으로 나눌 수 있다. 유니캐스트는 특정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정보의 카피를 해당 클라이언트한테 전송하는 경우이고 브로드캐스트 인터넷은 정보의 한 카피가 네트워크상의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경우이다. 이에 반에 멀티캐스트는 일정한 수의 특정 클라이언트들이 어떤 정보를 원한다면 이들에게만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다. 다시 말해 멀티 캐스트는 동시에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패킷정보를 보낼 수 있는 기술로 인터넷 방송 기술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멀티캐스팅으로 응용프로그램들은 하나의 정보 복사본을 그룹 주소로 보내고 그룹은 이 정보를 나누어 가짐으로써 정보를 원하는 모든 클라이언트들이 받아 볼 수 있다. 

 

▶ 엠본(Mbone: Virtual Multicast BackboneOn the interNEt) 

한편, 인터넷 멀티캐스트의 백본( I n t e r n e t Multicast Backbone)이라고도 불리는 엠본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멀티캐스트가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엠본은 가상 네트워크의 일종으로 멀티 캐스트가 가능한 특정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넷의 일정부분으로 인터넷의 최상위 부분에 이른바 가상 네트워크를 구축해 소프트웨어를 통해 멀티 캐스트 패킷 정보를 시도한 기술이다. 

 

▶ 인터캐스트(Intercast) 

인터캐스트는 컴퓨터의 정보처리 능력과 인터넷의 범세계적 상호작용성, 그리고 TV 프로그램의 다양한 내용을 제공하면서도 쌍방향의 상호작용을 가미한 기술이다. 인터캐스트는 흔히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만남으로 평가되기도 하는데 이는 기존 아날로그 TV 환경에 컴퓨터와 인터넷이라는 디지털 환경이 접목되는 정보단말기의 초기형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경우는 M B C에서 1 9 9 9년 4월부터 인터넷 정보방송이라는 이름 하에 인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EBS, KBS, SBS도 이를 이용해인터넷 방송을 하고 있다. 

 

▶ 코딩(Coding)과 인코딩(Encoding) 

코딩은 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HTML 자료 제작, 이미지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등을 포괄하며, 인코딩은 기존의 AV 매체로부터 인터넷방송에서 사용가능한 디지털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 방송 사이트 구축시 코딩과 인코딩은 모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트래픽 

어떤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負荷)를 말한다. 트래픽은 매우 일반적인 용어이기 때문에, 이외에도 네트웍을 통해 움직이는 데이터의 양이나 어떤 종류의 트랜잭션(transaction) 및 메시지 등의 양을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시스템 관리자의 중요한 작업 중 하나가 트래픽 상황을 감시하고, 트래픽이 늘어나면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 PPV(Pay Per View) 

P P V는 과금의 한 방식으로 컨텐츠 1회 시청에 따라 규정된 요금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리얼 미디어나 윈도우 미디어에서도 제공되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사용량 빈도까지통계로 볼 수 있다. 

 

▶ 임베딩(Embedding) 

대부분 미디어 플레이어는 별도의 플러그인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실행된다. 어떤 웹사이트에는 웹페이지 안에서 미디어 플레이어가 실행된다. 이를 임베딩 시킨다고 한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JavaScript, UBScript 혹은 ActiveX 형식으로 웹페이지에 삽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 때 <Embed> 혹은 <Object> Tag를 사용한다. 

 

▶ 메타 파일(Meta File) 

스트리밍 파일은 웹서버가 아닌 스트리밍 서버에서 전송되며, 재생도 별도의 미디어 플레이어가 한다. 인터넷 브라우저가 스트리밍 파일 경로를 알게 하기 위해 만드는 파일을 Meta File이라 하고, RAM, ASX 같은 형식으로 제작한다. 메타 파일에는 rtsp://, mms://같은 스트리밍경로를 적어준다. 

 

▶ 원소스 멀티유즈(One Source-Multi Use) 

하나의 컨텐츠 개발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 편의 영화제작으로 영화음악(음반), 캐릭터, 팬시, 비디오, 방송공급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가능한 것을 볼 수 있다. 인터넷방송 컨텐츠도 공중파, CD 제작, CP 등을 통한 전략구사가 가능하다. 

 

▶ 니치(Niche) 시장 

‘틈새시장’이란 뜻으로‘니치’란‘남이 모르는 좋은 낚시터’라는 은유적인 뜻을 가지고 있다. 대중시장 붕괴 후의 세분화한 시장 또는 소비상황을 설명하는 말이기도 하다. 니치마케팅이란 시장의 빈틈을 공략하는 새로운 상품을 잇따라 출시함으로써, 다른 특별한 제품 없이도 셰어( s h a r e )를 유지시켜 가는 판매전략을 말한다. 

 

▶ 컨텐츠(contents) 

컨텐츠란 원래 서적, 논문 등의 내용이나 목차를 일컫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정보를 통칭하는 말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PC 통신등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정보 내용물, CD-ROM 등에 담긴 영화나 음악, 게임 소프트웨어 등이 모두 이에 속한다. 

 

▶ 프로토타입(prototype) 

프로토타입의 원래 뜻은 원형, 초기 형태 등을 가리키는 것이지만, 흔히 공학에서 말하는 프로토타입이란 어떤 구조물이나 장비에 대해 형상이나 설계, 적합성 또는 성능 등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실물 크기의 모형을 말한다. 

 

▶ 템플릿(Template) 

웹페이지는 컨텐츠를 제외한 부분은 모두 같은 형식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디자인을 템플릿이라 하며 헤더(header), 메뉴바, 풋터(Footer)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이-비즈니스(e-Business) 

인터넷 초기에는 인터넷과 관련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개발 비즈니스가 주요한영역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현실 비즈니스에서도 인터넷 인프라 스트럭처의 활용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인터넷이라는 전세계적인 네트워크상에서 펼쳐치는 비즈니스로 확대되었다.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인터넷 교역에서부터 인터넷이라는 인프라 스트럭처와 관련정보기술을 조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그 영역은 현실과 가상공간(cyber space)을 오가며 점점 확대되고있다. 

 

▶ SWOT 분석 

S t r e n g t h (강점), Weakness(약점), Opportunities(기회요소), Treats/Risk(위험요소) 등의 네 가지 분석기조에 따른 방법이다. 하나의 사례를분석할 때 강점, 약점, 기회요소, 위험요소등의 네 가지 상호대비되는 관점을 모두 제시하여 보면 가장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근거 하에 사용되는 분석법으로 비즈니스 벤치마킹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 원투원 마케팅(One-To-One Marketing) 

고객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필요한 고객에게 필요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 어느 고객이 무엇을 얼마나 자주 구매했으며, 어느 매장에서 어떤 유형의 제품을 구매했는지, 언제 재구매 또는 대체구매 할 것인지 등과 같은 정보를 가지고 고객의 성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판매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 PPL(Product Placement) 

특정한 상품을 영화나 다른 매체 속에 소도구로 삽입해 광고효과를 노리는 것을 말한다. 직접적인 광고전달에 의한 거부감을 없애고, 잠재적인 측면의 잔상효과를 노리며, 무엇보다 기존의 매체보다 값싼 광고비로 자사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B to C(B2C ; business-to-consumer or business-to-customer) 

인터넷상에서 공급자와 실소비자간에 행해지는 소매형태의 전자상거래를 말한다. 이것은 기업간 전자상거래인 B 2 B에 대비되는 말로 자주쓰인다. 

 

▶ B to B(B2B ; business-to-business; 기업간전자상거래) 

인터넷에서, 흔히 e - b i z라고도 알려져 있는 B 2 B는 기업과 소비자간이 아닌, 기업과 기업간에 이루어지는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정보에 관한 거래를 말한다. 비록 초기의 관심은 인터넷상의 소매거래의 성장에 초점이 맞추어졌지만, B2B의 총수입은 멀지 않은 장래에 B 2 C의 총수입을 넘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I S P는 개인이나 회사들에게 인터넷 접속서비스, 웹사이트 건설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들을 말한다. 이를 위해 I S P는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장비와 통신회선을 갖추고 있으며, 대형 I S P들은 전화망 사업자에 비교적 덜의존적이면서도 자신들의 고객들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신들만의 고속 전용회선을 갖추기도 한다. 

 

 

 

 

 

 

 

출처 : 한국방송대학보 

 

[출처] [펌] 인터넷방송의 주요 용어|작성자 푸른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