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lib : 스크립트에 없거나 미리 연습하지 않은 즉흥적인 대사, 동작 연주, 연출 


♣ After-recording : 완성된 화면에 맞춰 대사, 음악, 효과 등을 녹음하는 일. '에프레코'라고도 한다. 

♣ AM :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 진폭변조 

♣ Announcer booth : 아나운서 방송실 

♣ Audience flow : 시청자의 흐름. 어떤 일정한 시간에 시청자가 채널을 돌리는 일 

♣ BG : Background의 약자. 배경음 

♣ Booster : 난청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중계전문의 소전력 방송국.채널을 중앙국과 같은 것을 쓴다 

♣ Call sign : 방송국의 호출부호 

♣ CM : Commercial Message의 약자. 생필름 슬라이드 등으로 방송되는 광고 메시지 

♣ Continuity : 하나의 스토리가 처음부터 끝까지 원활하고 알기 쉬운 흐름을 갖는 일. 스크립트 

♣ Cue : 개시신호 

♣ Delayed broadcast : 시간을 늦추어서 방송하는 일 

♣ Dissolve : 현재의 화면이 스며들어감에 따라 다음 화면이 서서히 나타나는 것 

♣ Dubbing : 하나 또는 둘 이상의 Sound track을 하나의 master track으로 옮기는 것. 카세트로 녹음 취재해온 것은 그대로 방송할 수 없다. 그것을 편집실 더빙기에서 릴Tape으로 옮기는 작업을 말함 

♣ Editing :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는 일 

♣ Effect : 인위적인 시각적, 청각적 효과 

♣ FM : frequency modulation의 약자. 주파수 변조에 의한 단파방송 

♣ Fold back : 음악이나 음향효과를 스튜디오에 있는 출연자에게 들리게 하는 일 

♣ Inter Cut : 같은 scene을 짧은 시간에 여러 관점에서 촬영하는 일 

♣ log : FCC의 규정에 의해서 각 방송국에서 보존하는 전 방송활동의 기록 

♣ N.G : no good의 약자. 방송을 하다가 잘못됐을 때 N.G라고 말하고 다시 방송을 한다 

♣ Test pattern : 카메라 또는 수신기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특수한 도안. 보통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저에 이것을 잠시 방송한다. 

♣ Theme music : 주제음악. 프로그램 개시 또는 종료때에 그 프로그램에 signal로 사용하는 음악 

♣ 가두녹음(VOX-POP) : 거리에 나가 직접 일반인들의 의견을 취재 녹음하는 것. The voice of people란 뜻이다 

♣ 가청취권(Service area) : 특정 라디오 방송의 청취가 가능한 지역 

♣ 게인(gain) : 볼륨(volume)이라고도 한다. 방송시에 게인을 올리고 내린다고 하는 것은 오디오의 소리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한다는 뜻이다 

♣ 블라스팅(Blasting) : 호흡할 때 훅 하는 소리로 인해 발산하는 마이크 잡음 

♣ 빌보드(Billboard) : 프로그램 처음부분이나 끝부분에 스폰서를 간단히 밝히는 것. 미국의 최대음악잡지로 주 1회 발행하고 있다 

♣ 싸인 온(Sign on) : 방송개시. 우리나라 경우에는 애국가, 네트워크 표시, 심의규정준수, 방송책임자와 광고책임자명 등으로 방송의 시간을 알린다 

♣ 송출 : 방송국의 스튜디오로부터 송신소 또는 가맹사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 회선으로 프로그램을 보내는 것 

♣ 수신호(Hand signal) : 유리로 차단된 스튜디오 안밖에서 출연자나 제작자 사이에 손을 이용해서 의사소통을 하는 신호. 수신호에는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신호, 대담을 끝내라는 신호, 음악을 내보내는 신호, 전화연결을 하겠다는 수신호 등이 있다. 

♣ 스탠바이(Stand-by) : 출연자나 스탭에게 방송준비를 알리는 시간 

♣ 스파트(spot) :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들어가는 광고, 공지사항 프로그램 안내 등을 말한다 

♣ 오프 마이크(Off mic) : 출연자가 마이크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말하는 것, 보통 출연자가 마이크로부터 1미터 이상 떨어져서 말하는 것이다 

♣ 온 마이크(On mic) : 출연자가 마이크에 접근하여 말하는 것. 출연자가 마이크로부터 30cm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콘텍트마이크라고 한다 

♣ 스플라이싱 테이프(Splicing Tape) : 녹음테이프를 편집할 때 사용하는 접착 테이프 

♣ 엠비엔트 노이즈(Ambient noise) : 오디오에서 녹음된 음이 재생될 때 나타나는 잡음 

♣ 주파수(frequency) : 단위시간(보통 1초)당 한 점을 통과하는 파동의 숫자. 1초에 천 개의 파동이 지나가면 천 Hz가 된다 

♣ 컷(cut) : 방송을 위하여 사전에 준비된 일정 분량의 음향자료. 취재된 음성일 수도 있고 음악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 녹음테이프에서 필요하지 않은 부분을 잘라내는 것 

♣ 컷 아웃(Cut out) : 내보내고 있던 음악이나 말, 화면 등을 갑자기 줄이거나 없애버리는 것 

♣ 큐(Cue, Q) : 대사, 연기, 음악, 효과 등의 시기 등을 지시하기 위해 정해놓은 사인. 몸짓, 손짓, 인터컴 등의 통화장치 등을 통해 지시를 전달함 

♣ 큐 시트(Cue sheet) : 한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전 과정을 일정한 형식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입해 놓은 방송진행표. 방송 시작전에 작성되어 모든 스탭에게 돌려져 방송진행 전 과정의기본틀이 된다 

♣ 키 스테이션(Key station) :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곳으로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송출을 수행한다 

♣ 프라임 타임(Prime time) : 시청취율이 가장 높고 따라서 광고비도 가장 비싼 방송시간대(주로 출.퇴근시간). 드라이브 타임(drive time)이나 골든 아우어(golden hours), 골든 타임(golden time), 픽 타임(peak time) 등이 같은 뜻의 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