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방식 (Hybrid Form)
패턴방식과 코드방식을 병용한 문자다중방송의 한 방식. 예를 들면 문자는 코드방식으로 전송하는데 그 문자는 사용도가 높은 1천자 내지 3천자 정도로 한정시켜 둔다. 문자발생기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그 외의 문자나 도형은 패턴방식으로 전송한다.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 (-生成言語)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인터넷의 정보 검색 시스템인 월드 와이드 웹(WWW : World Wide Web)의 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생성 언어. 보통 HTML이라는 약어로 불린다. 문자뿐만 아니라 화상이나 음성, 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현할 수 있다. 
HTML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책정한 표준 범용 문서 생성 언어(SGML)을 바탕으로 책정되었다. SGML과 같이 HTML도 문서 중의 텍스트나 도형 등의 요소에 태그(tag)를 부착함으로써 이들 요소들은 WWW 브라우저(또는 웹 브라우저)가 사용자에게 표시해야 하는 방법과 키보드를 누르거나 마우스를 클릭하여 연결(link)시키는 등의 사용자 조작에 브라우저가 반응해야 하는 방법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태그를 사용하여 문서의 제목이나 문자의 크기, 색 등을 지정할 수 있고, 화면의 배치 등을 지정하거나 연결을 선택하여 다른 페이지나 다른 서버에 있는 페이지를 자동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월드 와이드 웹 브라우저에 널리 사용된 최초의 공통적인 HTML은 IETF(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에서 작성한 HTML 2.0이다. 그 이후의 HTML의 개발은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WW Consortium)이라는 단체가 진행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것은 이 단체가 1996년에 표준화한 HTML 3.2이며, 다음 버전인 HTML 4.0의 초안은 1997년에 공개되어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등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현행 HTML 표준에 포함되어 있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HTML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할당 주파수 (割當周波數) Assigned Frequency 
무선국에 할당된 주파수대의 중심 주파수. 전파 관리 주관청(또는 허가 주무 관청)은 무선국이 사용할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송신기로부터 발사될 주파수, 전파 형식 및 공중선 전력 등을 고려해서 당해 통신에 필요한 점유 주파수 대역(주파수 허용 편차 포함)을 확정하게 되는데, 이 대역의 중앙 주파수를 할당 주파수라 한다. 
특정 업무(육상 이동, 해상 이동, 항공 이동 또는 방송 업무 등)용으로 주파수 대역을 확정, 분배하는 것을 “주파수 업무 분배(frequency allocation)”라고 하고, 이 분배된 주파수를 개개의 무선국에 허가하는 것을 “지정”이라고 하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주파수 할당과 주파수 지정은 다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주파수(또는 주파수대)를 공평하게 분배하기 위해 전파 통신 규칙은 세계를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용으로 분배하는 것을 “주파수 구역 배당(frequency allocation)”이라 한다.



확장성 생성 언어 (擴張性生成言語)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를 대체할 목적으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WW Consorsium)이라는 단체가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페이지 기술 언어로, 보통 XML이라는 약어로 불린다. 
HTML에서 사용되는 연결(link) 기능 등을 확장함과 동시에 표준 범용 문서 생성 언어(SGML)를 인터넷용으로 최적화한 것이다. HTML과 SGML의 장점을 모두 갖도록 규정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XML을 바탕으로 한 푸시형(push type) 소프트웨어용의 정보 배포 형식(information distribution format)인 채널 정의 형식(CDF : Channel Definition Format)을 규정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 4.0(Internet Explorer 4.0)에서 실현하고 있다.

 

 

출처 : KBS테크센터 http://www.kbs.co.kr/techcenter/dic/14.html